요약: 철강·비철금속 산업의 OEM 제작은 강도·내식성·정밀도 확보가 핵심입니다. 본 가이드는 철강 및 비철금속 가공 부품의 제작 절차와 품질검사 기준, 원재료 선택법을 CAPA 기준에 맞춰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산업용 레이저 절단기로 철강 판재를 절단하는 장면, CAPA 인증 제조 파트너의 금속 가공 공정
1) 개념: 철강/비철금속 OEM의 정의와 특성
- OEM 개념: 고객 도면에 따라 철강·비철금속(알루미늄, 구리, 황동, 티타늄 등) 부품을 절단, 용접, 가공하여 납품하는 제조 방식입니다.
- 주요 특성: 강도, 인성, 내식성, 용접성, 경량화 특성에 따라 소재별 최적 가공 기술을 적용.
- 품질 기준: ISO 9001, KS, ASTM, JIS, RoHS 인증 준수.
- 적용 산업: 건설기계, 플랜트, 선박, 전자, 자동차, 에너지 등.
2) 절차: 철강/비철금속 OEM 제작의 6단계
- 요건 분석: 도면 검토, 재질 사양(SUS, AL, CU, Ti 등) 확인, 공차·강도 요구 검토.
- 절단 및 성형: 레이저 절단, 절곡, 프레스 가공 등 수행.
- 용접 및 조립: MIG, TIG, Spot 용접 등 재질별 최적화 공법 적용.
- 열처리 및 표면처리: 강도·내식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아연도금, 아노다이징 등 수행.
- 검사 및 측정: 치수, 강도, 비파괴검사(NDT), 표면거칠기 검사 수행.
- 포장 및 납품: 녹 방지 처리, 완충 포장, 출하검사 보고서 발행.

TIG 용접을 통해 알루미늄 프레임을 조립하는 장면, CAPA 제조 파트너의 비철금속 용접 사례
3) 비용: 철강/비철금속 가공 단가 구성
- 기본식: 단가 = 원재료비 + 가공비 + 용접비 + 검사비 + 표면처리비.
- 비용 영향 요인:
- 소재 종류(탄소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
- 공정 복잡도(절단·용접·도금 단계 수)
- 공차 및 품질 요구 수준
- 납기 조건 및 생산량
- 비교 체크리스트:
- ISO/KS 인증 공장 여부
- 용접·열처리 설비 내재화 여부
- NDT·강도검사 가능 여부
- 소재 추적성(Heat No.) 관리 체계
간단 표: 공정별 핵심 관리 항목
공정 주요 목적 유의사항 절단 형상 정밀도 확보 열변형 최소화 용접 강도 확보 용접변형 및 균열 관리 열처리 경도 향상 과열 방지 검사 품질 보증 NDT/PT/UT 검사 병행
4) 유의사항: 품질·납기·소재 관리 포인트
- 품질 리스크: 용접불량, 균열, 변형 → WPS/PQR 인증된 용접사 투입 필요.
- 납기 리스크: 복합 공정(절단–용접–열처리) 일정 통합 관리 필수.
- 소재 리스크: 철강·비철금속 혼합 조립 시 전기화학 부식(Galvanic corrosion) 주의.
- 문서 관리: 소재 증빙(MTC), 검사 성적서, 납품 보고서 필수 제출.
5) 결론
철강·비철금속 부품 OEM은 정밀도와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합니다.
CAPA의 제조 파트너는 ISO·KS 인증을 보유하고, 용접·열처리·검사 설비를 자체 운영합니다.
지금 바로 도면을 제출하고 CAPA에서 견적을 받아보세요.

완성된 철강 구조물의 치수를 측정하는 엔지니어, 품질 검사 및 CAPA 인증 공장 환경
👉 CAPA 철강/비철금속 제조 파트너 찾기